10일 차가 짧아서 좋지 않았는가?

8, 9일 차로 고생했을 여러분을 위한 배려를 했다!

 

그리고 치팅 데이 후인 오늘은 새로운 개념을 배워볼까 한다.

 

바로 호스팅과 배포인데, 이는 지금까지 공부했던 HTML이나 CSS의 작성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HTML과 CSS작성은 말 그대로 하나의 브라우저를 만드는 행위이다.

 

이 브라우저를 만들면 끝이 나는가?

 

다르게 비유해서 설명하자.

삼 O에서 휴대폰을 만들면 거기서 끝인가?

아니다.

휴대폰을 판매하는 과정을 거쳐야 소비자들이 생산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

 

우리가 만든 브라우저 또한 그렇다.

휴대폰이 생산->시장으로 전달->판매 의 과정을 지난다면 

우리의 웹은 코딩->서버에 업로드->사용자의 접근의 순서를 따른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우리가 만든 웹사이트를 서버에 업로드 하는 과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이런 구조로 보니 정말 간단하지 않은가?

서버에 우리가 만든 사이트를 올리는 행위가 제목에 나와있는 "배포"라는 행위이다.

 

그러면 호스팅은 뭘까?

우리가 꽤 자주 접하는 단어이지만 뜻을 말해보라면 말 못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런 여러분을 위해 지식을 더해주겠다!

 

우리가 우선 만든 사이트를 서버에 올리는 과정을 거치면 그 다음으로는 서버에서 사용자에게로 사이트를 제공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데 이 과정을 "호스팅"이라고 한다.

 

단간하게 정리해 주겠다.

 

내가 사이트를 만듦 -> 서버에 올림 : 배포

사이트에 접속하려 함 -> 서버에서 나에게 올려진 사이트를 제공함 : 호스팅

 

간단한 개념들이 정리가 되었는가?

 

그러면 이제 이걸 다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 Recent posts